[04.09. 한국증권] 정연숙 기자가 읽어주는 뉴스 속 알짜 정보
[04.09. 한국증권] 정연숙 기자가 읽어주는 뉴스 속 알짜 정보
  • 정연숙 기자
  • 승인 2025.04.09
  • 댓글 0

© AP/뉴시스
미국이 우리나라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정부가 자동차·부품 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고 생산기반 유지·확충을 위해 총 16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지원한다.당초 정부는 올해 자동차산업 정책금융으로 미래차 육성 5조원, 자동차 부품전환 8조원 등 13조원을 책정했지만 미국 정부의 과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 유동성 자금 3조원(정책금융 2조원, 상생금융 1조원)을 신규로 지원하기로 했다. 수출바우처를 올해 2400억원에서 1000억원 이상 확대하고 올해 6월 일몰되는 단기수출보험료 60% 할인 방안도 연말까지 연장한다. 부품기업에 전용 선복을 제공하는 등 수출 물류 부담도 완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이 담긴 '자동차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긴급 대응 대책'을 논의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 3일부터 자동차와 소형트럭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이는 현재 미국이 수입 자동차에 부과하는 평균 관세 2.5% 대비 10배 수준이다. 엔진, 변속기 등 자동차 부품의 경우 5월 3일 이전에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높다.정부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대미 수출액 65억 달러가 감소하고 완성차 기업의 영업이익이 약 10조원 가량 줄어들 수 있다고 예상했다. 특히 규모가 영세한 국내 2만여개 자동차 부품사들의 경영상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고 봤다. 자동차 산업 안전망을 보완하기 위해 정부는 ▲기업 경영위기 지원 ▲수요진작·신시장 창출 등 시장충격 대응 ▲투자환경 개선 및 미래 기술력 확충 ▲미 관세 조치 협상대응 강화 등 4가지 과제로 관세 대응책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AP/뉴시스

▶한국증권 시장에서 8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6.03포인트(-0.26%)하락한 2,334.23에, 코스닥은 전일 대비 7.15포인트(-1.10%)하락한 658.45에 장을 마감.

트럼프 美國 대통령의 관세가 반도체 등 韓國 주력 산업까지 덮치면서 코스피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81까지 주저앉았고,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제 상황을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게 되면서 기업들도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공시도 급감.

▶삼성전자가 1분기(1~3월) 매출 79조원(+4%), 영업이익 6조6000억원(+2%)을 기록하며 선방했지만 미국의 관세(關稅) 먹구름이 여전.

올해 초 선보인 ‘갤럭시 S25’ 시리즈의 흥행이 연이은 역성장을 막아낸 것으로 분석. 다만 반도체 기술경쟁력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데다 ‘관세 전쟁’으로 업황에도 먹구름이 낀 터라 2분기 실적을 향한 우려는 가시지 않고 있음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유상증자가 총수일가 지원이라는 비판이 일자  주주배정 유상증자 규모를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줄이기로 결정하면서 “돈은 (경영권)승계를 위해 쓰고, 주주에게 손을 벌린다”는 비판을 일부 해소.

나머지 1조3천억원은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세 아들 동원·동관·동선이 소유한 한화에너지·한화임팩트파트너스·한화에너지싱가폴 등이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메운다는 계획.

▶SK그룹이 그룹 사업 재편(리밸런싱) 방안의 하나로 ‘몸값 5조원’ 알짜 계열사인 반도체 웨이퍼 제조사인 에스케이실트론의 지분 70.6%에 매각을 검토.

에스케이실트론은 국내에서 반도체 칩의 핵심 기초 소재인 웨이퍼를 생산하는 전문기업으로, 12인치 웨이퍼 기준 세계 시장 점유율은 3위이며, SK그룹이 2017년 엘지(LG)그룹으로부터 옛 엘지실트론 지분 51%를 6200억원에 인수함.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메리 배라 제너럴모터스(GM) 회장이 오는 9월 10~11일 美國 디트로이트에서 열리는 ‘오토모티브뉴스 콩그레스’에서 기조연설자로 만날 예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으로 전 세계 자동차산업이 요동치는 가운데 현대차와 GM 수장이 만나 한 단계 높은 수준의 협력 방안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

▶LG이노텍이 지난달 24일 서울 마곡동 본사에서 글로벌 반도체 기업 인텔과 인공지능(AI) 비전 검사 분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비전 검사는 생산 공정에서 제품 등의 외관을 살펴 이상 여부를 확인하며 불량률을 낮추는 과정으로, 기존 근로자가 하던 작업을 카메라 등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최근 AI를 적용해 고도화하는 추세임.

▶HD현대중공업은 美國 워싱턴DC에서 美國 최대 방산 조선회사인 헌팅턴잉걸스와 ‘선박 생산성 향상 및 첨단 조선 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미국 정부는 지난해 295척인 군함을 2054년 390척(1조 750억 달러, 한화 1583조원)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으며, 숫자만 보면 100척가량 증가하지만, 노후화된 군함도 있어 이를 고려하면 30년간 364척의 군함을 새로 구매해야 하는 상황임.

▶LS전선과 대한전선이 배선 수단인 부스덕트용 조인트 키트의 특허를 두고 벌인 법적 분쟁이 두 회사가 상고장을 내지않아 2심 판결이 그대로 확정되면서 5년8개월 만에 LS전선의 승리로 마무리.

2심 재판부는 지난달 13일 대한전선이 LS전선의 특허권을 침해했다고 판단하고 15억1628만원을 배상하라고 판결.

▶충북 1위·전국 96위 시공능력 평가를 가진 대흥건설이 법정 관리에 들어가면서 건설업계는 DSR규제 3단계 강화를 앞둔 ‘7월 위기설’이 엄습.

올해 들어 신동아건설(58위), 삼부토건(71위), 대우조선해양(83위), 대흥건설(96위), 대저건설(103위), 삼정기업(114위),안강건설(116위), 이화공영(134위), 벽산엔지니어일(180위) 등 중견건설사 171곳이 잇달아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

▶美國 헤지펀드 억만장자 빌 애크먼 등 월가의 강성 트럼프 지지자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의 경제 성장 동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하며 공개 반대에 니섬.

美國 증시(證市)가 수일 간 급락을 거듭하자 트럼프를 지지해 온 월가의 억만장자조차 관세 유예와 각국과 재협상을 요구하는 우려 목소리를 내는 등 안팎으로 비판이 거세지고 있음.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부과한 상호관세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애플이 관세 충격을 피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생산공장에 있는 제품들을 관세가 부과되기 전 인도와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미국으로 급하게 보내는 한편 관세율이 낮은 지역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 비중을 확대하기 위해 준비 중임.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4길 20 (맨하탄21리빙텔) 8층 821호
  • 대표전화 : 02-6956-9902
  • 팩스 : 02-2231-7685
  • 명칭 : 한국미디어서비스 주식회사
  • 제호 : 한국증권
  • 등록번호 : 주간신문 서울 다 10756, 인터넷신문 서울 아 51950
  • 등록일 : 2013-12-04
  • 발행일 : 2013-12-04
  • 발행인 : 조나단
  • 편집인 : 조나단
  • 청소년보호책임자 : 조경호
  • 파인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한국증권.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002@ksdaily.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