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창규 KT 회장 정치스캔들, 케이뱅크 증자 걸림돌"
"황창규 KT 회장 정치스캔들, 케이뱅크 증자 걸림돌"
  • 백서원 기자
  • 승인 2017.08.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주사들 "증자 부담"...우리은행 등 '정부 눈치보기' 설도
▲ 황창규 KT 회장 (사진=KT)

국내 인터넷전문은행 제1호 케이(K)뱅크가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

자존심이 구겨진 케이뱅크의 미래를 더 암담하게 만든 것은 주요 주주사 대표의 국정 혼란 스캔들이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된 황창규 KT 회장이다. 현재 케이뱅크는 여수신 규모 확대를 위해 주주사들과 증자를 추진 중이다. 그러나 새 정부 들어 황창규 회장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다시 부각되면서 타 주주사들의 속내도 복잡해졌다.

특히 줄곧 정부가 경영을 주도해온 우리은행인 경우 정부 눈치보기가 강해 해당 증자에 협조하지 않을 것이란 말도 나온다.

 

자존심 상처 입은 케이뱅크...사태 키우는 최대주주?

 

케이뱅크는 지난 101000억원, 카카오뱅크가 115000억원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증자에 성공하면 카카오뱅크의 자본금은 8000억원으로 올라서는 반면 케이뱅크는 여전히 3500억원에 불과하다.

케이뱅크는 이르면 연말이나 내년 초 추가적으로 1500억 원 유상증자에 나서겠다는 계획이지만 금융권 일각에선 이 역시 불투명하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또한 자본확충이 마무리된다 해도 양측의 신용대출 여력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생길 것이라는 전망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주주들이 설립 당시 낸 초기자본금 비율에 따라 신주를 배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주주사는 KT(8%) 우리은행(10%) GS리테일(10%) NH투자증권(10%) 19곳으로 다음달 27일 납입일 이후 증자 결과가 최종적으로 확정된다.

다만 주주들이 이를 그대로 수용할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도 있다. 일부 주주사의 경우 기존 지분율대로 증자하는 방안에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익명의 관계자는 "케이뱅크 행장이 우리은행 부행장을 만나기 위해 전화를 하는 등 노력했으나 해당 부행장이 받아주지 않고 있다는 말까지 들었다고 전했다.

우리은행 측은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확인 결과, (우리은행 측이 케이뱅크 측과의 만남을 거부한다는) 그런 얘기는 사실이 아니며 증자와 관련해선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주주사들의 움직임은 인터넷전문은행의 수익성과 건전성에 대한 의구심, 은산분리 완화 지연이라는 부담감에서 비롯됐다. 이것이 표면적인 이유라면 말할 수 없는 걸림돌도 있다. 금융권 일각에선 "정권교체에 따라 황창규 회장이 처한 불확실한 입지도 그 이유"라고 말한다.  더욱이 그동안  '국책은행'이라 불릴 정도로 정부가 주도해온 우리은행의 경우, 이를 무시하긴 힘들 것이란 주장이다.

황 회장은 민영화된 공기업 수장으로서 국정농단 스캔들에 시달려왔다. 지난 3월 간신히 연임에 성공했지만 정권이 바뀌며 민주당과 정의당에서 사퇴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와 가시방석에 앉았다. 그는 지난 6월 말 열린 한미 정상회담방미 경제사절단 명단에서도 이름이 빠져 눈길을 끌었다.

불씨를 키운 것은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달 17일 최종구 금융위원장 인사청문회에서 제기한 케이뱅크 특혜 인가 의혹이다. 김 의원은 케이뱅크 지분 10%를 보유한 우리은행이 최대주주로서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등 재무건전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음에도 금융당국에 유권해석을 요청해 인가를 받아냈다고 주장했다.

은행법과 은행업 감독규정에 따르면 새로 문을 여는 은행 주식을 보유한 최대주주는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8% 이상이면서 업종 평균을 넘어야 한다. 케이뱅크 인가 당시 우리은행은 최근 분기말(20156월 말) BIS비율이 14%8%를 넘겼으나 업종 평균인 14.08%보다 낮았다.

우리은행은 최근 3년 평균 BIS비율(15%)을 적용해 달라고 유권해석을 요청했고 금융위원회가 이를 수용해 인가가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케이뱅크의 또다른 최대주주이자 최순실 게이트에 협조한 KT가 관여해 우리은행에 특혜를 줬다는 게 김 의원 주장의 골자다.

최근에는 감사원이 감사에 착수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에 감사원은 케이뱅크 인가 관련 감사를 진행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지 않다금융위, 우리은행 KT 등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도 계획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내놨다. 하지만 일각에선 케이뱅크 특혜 의혹이 오는 9월 국회 국정감사에서 또다시 도마에 오를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

케이뱅크의 불안감은 깊어지고 있다. 케이뱅크의 경우 은행법이 개정(은산분리 완화)되지 않는 이상 자본확충 이슈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카카오뱅크와 달리 자본확충이 쉽지 않은 주주구성에서 이는 케이뱅크의 경쟁력을 위협하고 있다. 게다가 특혜 의혹까지 케이뱅크의 발목을 붙잡고 있는 실정이다.

앞서 지난 201511월 인터넷 전문은행 예비인가를 받은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12월과 지난 4월 각각 본인가를 받았다.

케이뱅크는 이후 지난 4월 선발주자로 출범하면서 지난달 말까지 120일 만에 개설계좌수 50만개, 수신액 6900억원, 여신액 6300억원을 달성했다. 그러나 지난달 27일 출범한 2호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는 이보다 훨씬 더 큰 돌풍을 일으켰다. 영업 2주 만에 200만 계좌를 돌파하며 수신액이 9960억원, 여신액은 7700억원을 뛰어넘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